홈 > 진행중인 법회 > 해피스님과의 대화/기타

해피스님과의 대화/기타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30708) ― 딱까(takka)의 안과 밖[이성(사유)과 감성(경향)] & 受 중심의 불교(근본경전…

▣ 해피스님과의 대화(서울 230708) ― 딱까(takka)의 안과 밖[이성(사유)과 감성(경향)] & 受 중심의 불교(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BylO_E9uVc

 

1. 불교는 사는 이야기입니다. 내가 세상을 만나는 이야기, 마음이 몸과 함께 세상을 만나는 이야기의 어디 어디에 어떤 어떤 문제가 있어서 괴로움이 생기고[연기(緣起)=십이연기(十二緣起)], 그 자리 자리에 어떻게 어떻게 대응할 때 문제가 해소되어 괴로움이 소멸할까[중도(中道)=팔정도(八正道)]를 설명하는 이야기입니다.


이때, 괴로움이 생겨나는 측면 즉 연기(緣起)를 도식화하면 삶의 메커니즘으로 그려지고, 괴로움의 소멸 방법 즉 팔정도를 도식화하면 수행지도(修行地圖)로 그려지는데, 이번 수업에서는 삶의 메커니즘을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설명에는 딱까(takka)라는 낯선 용어가 나타나는데, 애(愛)의 형성 과정입니다. 특히, (SN 6.1-범천의 요청 경) 등은 부처님이 성취한 법의 요점을 딱까의 영역을 넘어섬(atakkāvacara)[애(愛)를 형성하지 않음 즉 고멸(苦滅)의 삶의 실현]이라고 말할 만큼 삶에 대한 해석의 중심입니다. 특히, 딱까(takka)는 몸의 참여 없이 마음 혼자 작용하는 영역이라는 이해는 중요합니다.


삶의 메커니즘은 딱까(takka)를 중심에 두고 안과 밖으로 구분하여 삶을 설명합니다. 마음이 몸과 함께 인식하고 행위 하는 작용의 영역은 밖[외(外) : 식(識)~노사(老死)]이고, 몸의 참여 없이 마음 혼자 작용하는 영역은 안[내(內) : 무명(無明)-행(行)들] 즉 딱까입니다.


이런 딱까의 안과 밖의 개념을 이성과 감성의 측면에서 설명하였는데, 이성은 마음이 몸과 함께하는 밖의 영역에서의 사유이고, 감성은 마음이 몸의 참여 없이 작용하는 안의 영역에서 경향[상(想)]의 힘에 이끌린 작용입니다.


• 이성(理性) ― 1. 개념적으로 사유하는 능력을 감각적 능력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별시켜 주는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다. 2. (철학) 진위(眞僞), 선악(善惡)을 식별하여 바르게 판단하는 능력. 3. (철학) 절대자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능력.


• 감성(感性) ― 1.자극이나 자극의 변화를 느끼는 성질. 2.(식물) 식물에 자극을 주었을 때 자극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일부 기관이 일정한 방향으로 운동을 일으키는 성질. 3. (철학) 이성(理性)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외계의 대상을 오관(五官)으로 감각하고 지각하여 표상을 형성하는 인간의 인식 능력.


이성과 감성을 우리 사회의 현상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는데,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입니다. 과학에 근거하여 오염수 배출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성적 접근이고, 식민치하의 역사에서 잠재된 한일관계의 경향으로 접근하여 배출을 반대하는 주장은 감성적 접근이라고 설명해 보았습니다.


• ‘[지식iN] 감정을 숨기는 법’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nikay06_04&wr_id=305 

딱까(takka)의 안과 밖[이성(사유)과 감성(경향)].jpg

2. 수(受) 중심의 불교


1) 수(受)가 중요한 것은 알겠는데, 수(受)에 대한 관심이 적다는 지적에 대해 불교는 오직 수(受)에 대한 관심이고, 수(受)의 개선을 위한 가르침이라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불교의 최상위 개념은 고(苦)와 고멸(苦滅) 즉 ‘괴로울 것인가, 행복할 것인가?’입니다. 그리고 이 주제는 고(苦)의 원인인 고집(苦集)과 고멸(苦滅)의 원인인 고멸도(苦滅道)로 확장되어 사성제(四聖諦)가 되는데, 불교 안에 유일한 진리입니다. 이렇게 불교의 모든 관심은 수(受)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나는 불교를 믿는다(230214) ― 1)윤회 - 2)불교의 최상위 개념[고와 락] - 3)사성제[삼법인-연기-팔정도](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9_06&wr_id=58

 

2) 수행은 수(受)에서 멈추고(알아차리고) 더 이상 넘어가지 않게 하는 것 아닌지의 질문에 대해 수행은 수(受)에서 멈추게 하는 것이 아니고 수(受) 이후의 과정이 번뇌의 영향 위에서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두 번째 화살 맞지 않기’가 지시하는 내용입니다.


• 삶의 메커니즘9[상(想)의 잠재 - (화살경) 두 번째 화살 맞지 않기](깨달음 법회 180507)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4_04&wr_id=38

 

3) 애(愛)가 생기는 두 가지 과정


수(受)를 조건으로 애(愛)가 생기는 중간 과정에 딱까가 있습니다. 즉 딱까에서 수(受)를 어떻게 가공하는지에 따라 애(愛)가 생겨나기도 하고 애멸(愛滅)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애(愛)의 생김에 대해 두 가지 방법이 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연기(緣起)가 말하는 수(受)를 조건으로 생겨나는 방법과 소망과 탐(貪)이 함께한 것이라는 애(愛)의 정의에서 말하는 딱까의 과정입니다.


― 부산불교의사회(220919) - 제1장 대의(愛와 愛滅) & 수행의 중심개념[사념처=유일한 경로](근본경전연구회 해피스님) 참조 ☞ http://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6_02&wr_id=32

Comments

대원행 2023.07.16 23:04
http://www.nikaya.kr/bbs/board.php?bo_table=happy02_09&wr_id=53 참조 (「해피스님과의 대화 – 서울 모임(230708)」이 시작되었습니다.)
아빈뇨 2023.07.17 06:49
감사합니다.